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의 의미, 적용 방법, 특징과 중요성 1.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의 의미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이란, 글의 의미(Meaning)와 맥락(Context)에 초점을 두고 학습자를 가르치는 언어 교수법입니다. 학습자들은 글이 전달하는 의미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목표 언어(Target Language)를 익히게 됩니다. 총체적 언어 접근법은 학습자가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주고, 더불어 학습자가 언어 학습을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 그들에게 동기를 부여합니다. 총체적 언어 접근법은 어휘나 문법처럼 글의 세부적인 요소부터 가르치는 것이 아닌, 전체적인 글의 의미부터 학습하는 'Top-down'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2. 총체적 언어 접근법(.. 2023. 9. 1.
대한민국 수능 시험(Korean SAT)은 바람직한가? 원어민들은 왜 대한민국 수능 시험을 어려워하는가? 1. 대한민국 수능 시험(Korean SAT)은 바람직한가?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대한민국 고등학생들이 치르는 대학교 입학시험(Korean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입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줄여서 '수능(Korean SAT)'이라고 말하기도 하죠. 며칠 전에 저는,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원어민(Native Speaker)들이 대한민국의 수능 영어 문제를 직접 풀어보는 영상을 본 적이 있습니다. 원어민들의 반응은 흥미로웠습니다. 모두들 수능 영어 시험이 매우 어려웠다고 말했고, 심지어 몇몇 문제를 틀리기도 했습니다. 어떤 원어민은 대한민국 학생들이 왜 이런 어려운 문제를 풀어야 하냐고 반문했습니다.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들도 어려워하는 대한민국 수능 영어 시험, 과연 바람직.. 2023. 9. 1.
효과적인 언어 학습의 필요성, 내용 중심 교수법(Content-based Instruction)의 의미와 특징 1. 효과적인 언어 학습의 필요성 현대 사회에서 외국어 공부에 대한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외국어 공부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외국어를 공부합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떻게 언어를 공부하는 것이 제일 효과적일까요? 사실 최고의 언어 학습법은 없습니다. 그 대신,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 목적에 맞는 가장 적합한 언어 공부법이 있을 뿐입니다. 즉, 우리는 여러 가지 언어 학습 방법들 중 주어진 상황에 맞는 가장 적절한 방법을 택해야 합니다. 이러한 면에서, 다양한 언어 학습 이론이나 언어 교수법을 공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2. 내용 중심 교수법(Content-based Instruction)의 의미와 특징 오늘은 여러 가지 언어 교수법들 중 하나인 '내용 중심.. 2023. 9. 1.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의 의미와 특징, 그리고 필요성 1.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의 의미와 특징 외국어를 배운다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 여러분의 경쟁력을 키운다는 말과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외국어를 공부하는 것에 관심이 많고, 어렸을 때부터 외국어를 공부하기도 합니다. 언어를 가르치거나 학습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오늘은 언어를 가르치는 방법 중 하나인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의미(Meaning)와 맥락(Context) 중심의 언어 교수법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은 학습자가 목표 언어(Target Language)로 쓰인 글을 읽고 그 의미(Meaning)와 맥락(Context)을 이해.. 2023. 9. 1.
면접법(Interview)의 의미, 장단점, 여러 가지 종류, 특징과 유의 사항 1. 면접법(Interview)의 의미 '교육 평가(Educational Evaluation)'란,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이 학습 목표에 잘 도달하고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교육 평가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오늘은 그중 '면접법(Interview)'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면접법(Interview)'이란, 면접관(Interviewer)이 면접 대상자(Interviewee)와 대화를 하면서 정보를 얻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면접 대상자의 수준을 측정하는 평가 방법입니다. (교육 프로그램에서 면접관은 '교사(teacher)'이고, 면접 대상자는 '학습자(Learner)'입니다.) 면접관과 면접 대상자는 사전에 정해진 장소에 모여 대화를 나눕니다. 면접관은 주로 질문을.. 2023. 9. 1.
시험 문제(Test Questions)의 의미와 중요성, 여러 가지 유형과 장단점 1. 시험 문제(Test Questions)의 의미와 중요성 학습자의 수준을 평가하는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은 '시험(Test)'을 치르는 것입니다. 교사는 시험을 통해서 학습자가 무엇을 배웠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시험은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측정하는 훌륭한 수단이 됩니다. 하지만 시험이 무조건 좋은 평가 도구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시험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시험 문제(Test Questions)'를 내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교사는 시험을 통해서 학습자가 교육 내용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적절한 시험 문제를 개발하지 않으면 학습자의 수준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고, 더불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거나 보완할 수도 없습니다. 교사는 학습자가 무엇을 알고.. 2023. 9. 1.
교육 평가(Educational Evaluation)의 의미, 여러 가지 종류, 그리고 중요성 1. 교육 평가(Educational Evaluation)의 의미 '평가(Evaluation)'란, 사물의 가치나 수준을 결정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일정한 기준을 바탕으로 사물의 장점(Merit), 중요성(Worth), 의미(Meaning) 등을 점검한 후, 그 사물의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바로 '평가(Evaluation)'입니다. 교육 분야에서도 평가는 매우 중요합니다. '교육 평가(Educational Evaluation)'란, 학습자가 목표를 얼마나 성취했는지,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땠는지 등을 측정하는 과정입니다. 교육 평가를 통해서 우리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달성했는지 점검할 수 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평.. 2023. 9. 1.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multiliteracy in learning languages 1. The concept of Multiliteracy Have you ever heard of the word "Literacy" before? In modern society, the cocept of "Literacy"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Basically, I thought that literacy just meant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And I also thought we could get the ability simply by reading and writing lots of texts. However, in modern society, the meaning of "Literacy" has been ext.. 2023. 9. 1.
교수 설계(Instructional Design)의 의미, 필요성, 그리고 역할 1. 교수 설계(Instructional Design)의 의미 교육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습자를 성장시키는 것입니다.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어야 하고, 학습자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학습자가 실제로 성장했는지 명확하게 보여주어야 합니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활동을 '교수 설계(Instructional Design)'라고 합니다. '교수 설계(Instructional Design)'에는 학습 목표, 학습 내용, 학습 방식, 학습 매체, 평가 기준 등이 전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육 전문가들은 교수 설계를 통해서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를 규명하고,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검토하며, 평가 기준을 만들고, 프로그램의 미비점을 꾸준히 보완합니다. 2. 교.. 2023.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