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이야기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의 의미와 특징, 그리고 필요성

by 지미챗 2023. 9. 1.

1.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의 의미와 특징

 외국어를 배운다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 여러분의 경쟁력을 키운다는 말과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외국어를 공부하는 것에 관심이 많고, 어렸을 때부터 외국어를 공부하기도 합니다. 언어를 가르치거나 학습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오늘은 언어를 가르치는 방법 중 하나인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의미(Meaning)와 맥락(Context) 중심의 언어 교수법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은 학습자가 목표 언어(Target Language)로 쓰인 글을 읽고 그 의미(Meaning)와 맥락(Context)을 이해하도록 가르치는 언어 교수법을 뜻합니다.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은 학습자들이 글의 의미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총체적 언어 접근법을 통해 가르치는 교사들은 알파벳의 소리, 어휘, 문법 등 글의 세부적인 요소보다는 글 자체의 의미와 맥락을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또한, 그들은 언어가 전달하는 의미에 집중하는 것이 언어를 학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총체적 언어 접근법은 사람들이 외국어(Foreign Language)를 배우는 방식이 모국어(Native Language)를 배우는 방식과 유사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총체적 언어 접근법은 글의 전체적인 의미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어휘나 문법 등 글의 세부적인 요소들을 등한시하는 것은 아닙니다. 교사는 학습자에게 글의 의미를 먼저 가르친 후 글에 포함된 어휘와 문법을 가르칩니다. 학습자는 목표 언어로 된 글을 읽거나 들으면서 이해력을 기를 수 있고, 이해한 내용을 쓰거나 말해보면서 표현력과 창의력까지 기를 수 있습니다.

 

 2)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주는 언어 교수법

  총체적 언어 접근법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습자가 사회적 활동(Social Activity)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하는 것입니다. 사회적 활동의 기본은 타인 혹은 집단과의 의사소통(Communication)에 있습니다.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on Skill)'이란, 상대방이 전달하는 메시지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고 자신이 생각하는 바를 상대방에게 잘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사회적 활동을 할 때 의사소통 능력은 매우 중요하며, 총체적 언어 접근법에서는 학습자가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돕습니다. 총체적 언어 접근법에서 학습자들은 목표 언어 그 자체를 공부한다기보다, 타인과 목표 언어로 소통하는 방법과 기술을 공부하게 됩니다. 총체적 언어 접근법에서 학습자들은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고, 나아가 그 언어를 사용하는 나라의 문화와 가치관까지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3) 학습자 중심의 언어 교수법

  학습자가 교육 프로그램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에 따라서 학습 효과는 달라집니다. 학습자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로 수업에 참여한다면, 학습 효과는 매우 높을 것입니다. 총체적 언어 접근법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중심을 학습자(Learner)로 보고, 학습자가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합니다.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목표 언어로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동료들끼리 소통할 수 있는 기회도 부여합니다. 여럿이서 할 수 있는 재미있는 언어 학습 활동을 하면서 학습자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기도 합니다.

 

알파벳을 공부하는 학생

2.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의 필요성

 대한민국의 많은 교사들은 외국어를 'Bottom-up' 방식으로 가르칩니다. 다시 말해, 알파벳의 소리, 어휘, 문법 등 글의 세부적인 요소에 집중해서 외국어를 가르친다는 것입니다. 그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글의 의미와 맥락을 놓치게 됩니다. 영문법을 잘 이해하고 많은 어휘를 알고 있음에도, 간단한 문장이나 말 한마디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물론 언어를 가르치는 최고의 방법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Bottom-up' 방식의 언어 교수법이 잘못된 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총체적 언어 접근법은 대한민국의 교사들에게 좋은 교훈을 줍니다. 글의 세부적인 요소에 대해서 공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글의 의미와 메시지를 이해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총체적 언어 접근법은 글의 의미 파악, 의사소통 능력 확대, 그리고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총체적 언어 접근법은 언어를 가르치거나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한 교수법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