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험 문제(Test Questions)의 의미와 중요성
학습자의 수준을 평가하는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은 '시험(Test)'을 치르는 것입니다. 교사는 시험을 통해서 학습자가 무엇을 배웠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시험은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측정하는 훌륭한 수단이 됩니다.
하지만 시험이 무조건 좋은 평가 도구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시험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시험 문제(Test Questions)'를 내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교사는 시험을 통해서 학습자가 교육 내용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적절한 시험 문제를 개발하지 않으면 학습자의 수준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고, 더불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거나 보완할 수도 없습니다. 교사는 학습자가 무엇을 알고 있는지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좋은 시험 문제를 개발해야 합니다.
2. 시험 문제(Test Questions)의 여러 가지 유형과 장단점
시험의 목적, 시험 내용, 난이도 등에 따라서 시험 문제의 유형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시험 문제에는 어떤 유형이 있을까요? 여러 가지 시험 문제의 유형과 각 유형의 장단점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선택형 : 선택형은 주어진 선택지 중에서 올바른 것을 고르는 유형의 문제를 뜻합니다. 선택형 문제에는 크게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진위형, 선다형, 결합형)
① 진위형 : 문장을 하나 제시한 후, 그것이 옳은 내용인지 틀린 내용인지를 묻는 문제입니다.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이해했는지 측정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교사는 시험 문제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넓은 범위에서 많은 수의 문제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채점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가 두 개뿐이므로,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은 학습자도 정답을 맞힐 확률이 50%입니다. 따라서 진위형 문제만으로는 학습자들의 수준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습니다.
[진위형 문제 예시]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다. ( O / X ) |
② 선다형 : 여러 개의 답지를 제시한 후, 어떤 것이 옳은지를 묻는 문제입니다. 학습자가 답을 쉽게 유추할 수 없으므로, 학습자의 학습 내용을 알고 있는지 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의 추리력, 판단력, 기억력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교사는 시험 결과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답 선택지와 함께 오답 선택지들도 함께 만들어야 하므로 문제를 개발할 때 상당한 노력이 요구됩니다. 또한, 학습자는 답을 추측해서 맞출 수도 있으므로 학습자의 수준을 완벽하게 측정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선다형 문제 예시] Q : 다음 중 대한민국의 수도는 어디일까요? ① 워싱턴 ② 서울 ③ 베를린 ④ 도쿄 |
③ 결합형 : 올바른 짝을 찾아 연결하는 유형의 문제입니다. 제한된 시간 내에 많은 수의 문제를 만들 수 있고, 시험지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는 답을 쉽게 작성할 수 있고, 교사도 답안을 쉽게 채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학습자의 고차원적 학습 능력을 평가하기는 어렵고, 학습자가 문제의 답을 쉽게 유추할 수도 있습니다.
[결합형 문제 예시] Q : 올바른 것을 찾아 괄호 안에 번호를 써 넣으세요. 선택지 : ① 런던 // ② 도쿄 // ③ 서울 답안 : 영국 -- ( ) 한국 -- ( ) 일본 -- ( ) |
2) 서답형 : 주어진 문제에 대한 답을 직접 작성하는 유형의 문제입니다. 선택형과는 달리 선택지가 주어지지 않으며, 학습자가 직접 답을 기입해야 합니다. 서답형 문제에는 크게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단답형, 완성형, 논술형)
① 단답형 : 한두 개의 단어, 숫자, 기호 등을 작성하는 문제입니다. 선택지를 별도로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문제 개발이 쉽습니다. 학습자가 추측으로 정답을 맞힐 확률이 낮으므로 학습자의 수준을 측정하기에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선택형 문제보다 채점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예상하지 못했던 복수 정답이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도 큽니다.
[단답형 문제 예시] Q : 대한민국의 수도를 쓰시오. ( ) |
② 완성형 : 문장 안에 마련된 빈칸에 적절한 단어를 채워 넣는 문제입니다. 단답형 문제보다 채점하기가 쉽고, 복수 정답이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하지만 문장 안에 정답의 단서가 포함될 가능성이 크고, 학습자의 고차원적 학습 능력을 측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완성형 문제 예시] Q : 대한민국의 수도는 ( )이고, 일본의 수도는 ( )이다. |
(3) 논술형 : 답을 여러 개의 문장으로 서술하는 유형의 문제입니다. 학습자의 창의력과 논리력을 평가하기에 적합하고, 교사는 적은 시간과 노력으로 문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채점 기준을 세우기가 어렵고, 채점하는 시간도 오래 걸립니다. 학습자가 문제의 의도를 파악하기 어렵고, 언어 능력이 부족한 학습자에게는 불리한 유형의 문제입니다.
[논술형 문제 예시] Q : 대한민국 정부의 탄생 과정에 대해서 서술하세요. |
3. 마무리
지금까지 시험 문제의 유형과 각각의 장단점에 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학습자의 수준, 시험 방식, 시험 내용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서 적절한 문제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상황에 맞춰 여러 가지 문제 유형을 적절히 활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 좋은 문제를 개발한다면 좋은 시험이 탄생할 것이고, 좋은 시험은 학습자의 수준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교육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의 의미와 특징, 그리고 필요성 (0) | 2023.09.01 |
---|---|
면접법(Interview)의 의미, 장단점, 여러 가지 종류, 특징과 유의 사항 (0) | 2023.09.01 |
교육 평가(Educational Evaluation)의 의미, 여러 가지 종류, 그리고 중요성 (0) | 2023.09.01 |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multiliteracy in learning languages (0) | 2023.09.01 |
교수 설계(Instructional Design)의 의미, 필요성, 그리고 역할 (0) | 2023.09.01 |